반응형

네트워크 19

[라우터/스위치] Config-register 0x2101

L3 스위치 IOS이미지를 Upgrade를 하고, Boot System 명령어 통해 부팅 시 이용할 이미지 순서도 정상적으로 지정했는데, 업그레이드한 이미지로 부팅이 안 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미지도 에러 없이 정상적으로 Upload되었고, 업로드된 파일 사이즈도 점검했는데 TFTP 서버에 올려놓았던 이미지 파일과 동일 사이즈인데... 왜 부팅이 안되나 계속 확인을 해보다가. Config-register값이 0x2101로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때문에 지정한 이미지로 부팅을 하지 않고, bootflash 내 첫 번째 이미지를 이용해서 Autobooting을 계속하게 되었다. Config-register값을 0x2102로 바꾼 뒤에는 정상적으로 원하는 이미지로 부팅이 되어 이후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

TIP - 시스코 IOS Upload시 에러(Flash 용량부족)

습관적으로 IOS이미지 업그레이드 시, 그냥 냅다 TFTP 이용해서 이미지를 Upload를 하는데, 하기 전에 이미지 Size와 남아 있는 Flash의 용량을 꼭 확인을 하시기 바랍니다. Flash 용량 확인도 안하고, 이미지 Upload 하다가 에러 나면서 올라가지 않으면, 뭘 잘못했나... 맞지 않는 이미지를 올려서 그런가 하는...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되니, 기본적으로 꼭 한번 확인하시고 IOS Upload를 하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용량 확인 않고 올릴 경우 나오는, 에러 화면을 참고용으로 보여드리기 위해, 첨부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Flash용량 부족으로 인한, IOS Upload시 나오는 화면 보시는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Upload가 되면 "!!!!!!!!!!!" 느낌표가 계..

네트워크/TIP 2020.06.07

TIP - Carrier Busy 테스트

종종 고객들로부터 무선이 자주 끊긴다는 연락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선 Controller를 사용하는 환경이면 이런저런 모니터링 메뉴를 통해서 점검이나, Troubleshooting을 진행할 수가 있는데, 구형 장비에 단독형 형태로 운영 중인 사이트라면, 거기다 원격지라면 딱히 해줄 수 있거나 할 수 있는 부분이 없습니다. 대부분 Site 담당자들이 NW 쪽에 전문 지식이 있는 인원들이 아니어서, 무선 점검 툴 깔아서 무선 상태 점검을 해달라고까지 요청하기도 힘든 상황이라..... 계속해서 Claim 또는 하소연만 듣게 됩니다. 경험상 한 건물 내 밀집된 사무 환경에 여러 회사 사무실들이, 무선을 대부분이 사용하는 환경이어서, 특히 채널 가용 폭이 좁은 2.4 Ghz대역에서는 불안정안 무선 연결 문제..

네트워크/TIP 2020.05.15

TIP - Cisco 라우터/스위치 SSH Enable

고객 중에 Telnet을 사용하지 않고, SSH만 장비 Management용으로 사용하는 고객들이 일부 있다. 보안상 취약하다고 하여 회사 보안 정책상 Secure하지 않는 통신 자체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장비에서 SSH를 Enable 하여 장비 관리용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간단하니, 필요하신 분들 현장에서 설정해서 사용하시면 될 것 같다. 1. Domain설정 Test_SW(config)# ip domain-name test.com 2. RSA Key 생성 Test_SW(config)# crypto key generate rsa The name for the keys will be: myswitch.thegeekstuff.com Choose..

네트워크/TIP 2020.04.26

TIP - 시스코 장비 "Service Configuration Error Messages"

Cisco 신규 장비 Setting시, 장비를 리부팅할 경우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볼 수가 있다. 문제가 있거나 설정을 잘못 한건 아니니 놀랄 필요는 없습니다. %Error opening tftp://255.255.255.255/network-confg (Socket error) %Error opening tftp://255.255.255.255/cisconet.cfg (Socket error) %Error opening tftp://255.255.255.255/3620-confg (Socket error) %Error opening tftp://255.255.255.255/3620.cfg (Socket error)발생 원인 : IOS에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Default Service Co..

네트워크/TIP 2020.04.23

TIP - Cisco 3rt Party GBIC 사용 방법

되도록이면 고객들에게는 Cisco정품 제품을 사용하기를 권장을 한다, 나중에 문제가 발생해서 Cisco TAC Case Open을 진행해보면, GBIC 같은 경우는 Cisco정품으로 교체하라는 요청을 항상 받게 된다. 그래도, 가격적인 측면을 많이 따지는 고객사인 경우, 3rd Party GBIC을 많이 선호를 한다, 대부분 잘 작동하기도 하고. 다들 아시겠지만,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면, 3rd Party GBIC을 인식시킬 수 있다 *SW1(config)#*service unsupported-transceiver Warning: When Cisco determines that a fault or defect can be traced to the use of third-party transceivers ..

네트워크/TIP 2020.04.21

TIP-인터넷 익스플로러 Cache 삭제

업무상 필요에 의해서 NW접속 속도 테스트를 할 경우가 간혹 발생을 한다, 테스트 방법 중 Http Watch를 통한 "웹페이지 Loading 시간 측정, 파일 송/수신 시간 비교 등"을 하기도 하는데 테스트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매번 브라우저 내 Cache를 날려줘야 만 한다. 말은 쉬운데 몇 번을 테스트를 해야 하기에 마우스로 일일이 메뉴 찾아들어가서 "Delete"버튼 눌러 주는 것도 일이다. 그래서 Command로 한 번에 날려 버릴 수 있는지 찾아보니, MS 사이트에 아래와 같이 잘 정리되어 있다. 항목 별로 날릴 수 있게 숫자로 지정을 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테스트 목적을 위해 별도 Test PC를 사용하기에, 그냥 나는 "RunDll32.exe InetCpl.cpl,ClearMyTrack..

네트워크/TIP 2020.04.18

Cisco Mobility Express - 이미지 업그레이드 이슈(8.2)

60명 내외 소규모 사이트에 무선 개선을 위해, 노후화 장비를 AIR-AP2802I-E-K9장비를 이용하여 교체하려고, 이미지 Upgrade를 시도하는중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8.5로 8.6으로 교체 해보려고 했으나, 동일한 Error가 발생하여 이미지 Upgrade를 할수 없었습니다. 에러 메시지 : "tar: write error: No space left on device" 구글링을 해보니, 아래 링크된 IOS Bug로 확인이 되, 가지고 있는 버젼중 용량이 낮은 "ME-8-3-143"을 이용하여 문제 해결 하였습니다. https://bst.cloudapps.cisco.com/bugsearch/bug/CSCuz81074/?referring_site=bugquickviewredir 이미지 Upgra..

무선콘트롤러 - 국가 코드(Country Code)

무선 콘트롤러나 Mobility Express를 Console로 설치 시, 해당 장비를이용하고자 하는 국가를 선택하게 됩니다. 외국에 있는 사이트에 원격으로 설치를 진행 할 경우, 해당 국가 코드가 어떤건지 설치 하다가 구글링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을 하는데, 아래와 같이 따로 정리를 해놓으면 좋을것 같아 Upload 해놓았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elect Country Code Name AE United Arab Emirates AL Albania AR Argentina AT Austria AU Australia BA Bosnia BB Barbados BE Belgium BG Bulgaria BH Bahrain BM Bahamas BN Brunei BO Bolivia BR Br..

TIP - Cisco RTU 라이센스 Enable/Disable

업무상 ISR라우터에서 Securityk9 라이센를 이용하여, Site-to-Site IPSEC VPN을 많이 자주 구성 하는 편입니다. 간혹 신규 장비 설치 시, 해외 현지 납품업체로 부터 필요 라이센스를 제때 제공 받지 못하는경우가 발생을 하는데, 아래와 같이 RTU라이센스를 Enable하여 정식 라이센스 제공 받기 전까지 이용을 하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securityk9 RTU enable] : 정식 라이센스 받기 전까지, 임시로 사용(최대 60일). Router(config)# license boot level securityk9 [securityk9 RTU disable] : 정식 라이센스로 패치하고 나면, RTU를 Disable 합니다. Router(config)# license boo..

네트워크/TIP 2020.03.15
반응형